영어, 한국사, 지적능력검사
영어, 한국사, 지적능력검사
대한민국 국적을 가진자로 사상이 건전하고, 품행이 단전하며, 체력이건강한 자 중 다음 사항에 해당하는 자
학력: 고등학교 졸업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소시자
졸업예정자는입영일 까지 졸업이 완료되야함
연령: 임관일 기준 18세~27세인 사람
단, 제대군인 및 보충역 만료자(잔여복무 6개월 이내자 포함)는 지원 상한연령 연장
복무기간 | 지원 상한연령 |
---|---|
1년 미만 | 만 28세 |
1년 이상 2년 미만 | 만 29세 |
2년 이상 | 만 30세 |
군 인사법 제10조 제2항(임용 결격사유)
1. 대한민국의 국적을 가지지 아니한 사람
1의 2 항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자는 부사관에 임관 될 수 없다.
2. 피성년후견인 또는 피한정후견인
3. 파산선고를 받은 사람으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사람
4.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
5.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거나 그 유예기간이 종료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
6. 자격정지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사람
6의 2. 「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」 제2조에 따른 성폭력범죄로 3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
그 형이 확정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
7. 탄핵이나 징계에 의하여 파면되거나 해임처분을 받은 날부터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
8.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정지되거나 상실된 사람
신체: 징병신체검사 등 검사규칙의 신체등급 3등급 이상인자
현역병에서 부사관 후보생을 지원하는 경우: 병장/상병 또는 일병으로서 입대후 5월이상(입교일 기준) 복무중인자로서 소속부대장의 추천을 받은자(타군의 경우는 각군 참모총장 추천을 받은자)
(가) 1차전형
※ 필기시험: 시험시간 총 180분후(부사후 제203기부터 적용)
구분 | 1교시
(13:30~14:55) |
2교시
(15:10~16:13) |
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문제안내 | 언 어 논리력 | 자료해석 | 공간능력 | 지각속도 | 소계 | 문제안내 | 상황판단평가 | 직무성격평가 | 소계 | |
문 항 수 (개) | - | 25 | 20 | 18 | 30 | 93 | - | 15 | 180 | 195 |
배 점 (점) | - | 30 | 30 | 10 | 10 | 80 | - | 20 | 면접자료 | 20 |
구분 | 3교시
(16:25~17:35) |
총계 | |||
---|---|---|---|---|---|
영어 | 휴식시간 | 한국사 | 소계 | ||
문 항 수 (개) | 25 | - | 25 | 50 | 338 |
배 점 (점) | 50 | - | 50 | 100 | 200 |
* 출제수준 : 1~2교시는 기본상식 수준, 3교시는 고교과정 수준(한국사는 근현대사 포함)
「한국사능력검정」성적 보유 시 한국사 과목 면제(필기시험 중복응시 가능)
- 지원서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성적 입력 시 각 등급에 해당하는 점수 부여
구 분 | 중급 4급 | 중급 3급 | 고급 2급 | 고급 1급 |
---|---|---|---|---|
점 수 | 42점 | 45점 | 47점 | 50점 |
* 구비서류 우편 제출시 성적표와 함께 제출, 지원서 접수 마감일 기준 3년 이내 성적 유효(국사편찬위원회 주관 시험성적 인정)
* 필기시험 한국사 과목과 중복 응시한 경우 한국사능력검정 성적과 비교하여 유리한 점수 반영
- 간부 선발 도구(직무적성검사)
구분 | 인지능력평가 | 상황판단평가 | 직무성격평가 |
---|---|---|---|
내용 | 기본적 인지능력 측정 | 직무관련 역량 평가 | 인성, 행동 중점 평가 |
구성 | 93문항 (소요시간 58분) | 15문항 (소요시간 20분) | 180문항 (소요시간 30분) |
- 인지능력평가내용
하위검사 | 측정내용 |
---|---|
언어논리
(25문항: 20분) |
원활한 의사소통과 이해를 위한 기초 능력 |
자료해석
(20문항 : 25분) |
일반적인 상황이나 전문적인 활동을 하는데 필수적인 수리적 추론 능력 |
공간능력
(18문항 : 10분) |
입체적 공간관계를 이해하고 다양한 형태의 대상을 심적으로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는 능력 |
지각속도
(30문항 : 3분) |
사무작업에 필요한 능력 |
(나) 2차 공군 부사관 시험 전형 : 신체검사, 면접
- 공군 부사관 신체검사 체격조건 기준
징병신체검사 신체등급 3급 이상인자 (미실시자인 경우 지원가능)
신 장 : 남 - 159cm 이상, 204cm 미만, 여 - 155cm이상, 185cm 미만
시 력 : 양안 교정시력 0.7 이상, 색약, 색맹자 제외
* 시력 교정수술을 한 사람은 입대 전 최소 3개월 이상 회복기간 필요(권장사항)
신장별 표준체중 적용
(다) 3차전형(입영전형) : 기준미달자 불합격 (입영후 5일간 실시)
- 체력검정 종목별 합격기준
구분 | 1,500m 달리기(남)
1,200m 달리기(여) |
---|---|
남자 | 7분 44초 이내 |
여자 | 8분 15초이내 |
※ 부사관후보생 219기부터 팔굽혀펴기, 윗몸일으키기 폐지
※ 혹서기(7~8월) 1,500m 달리기(남자) 기준시간 8분
- 정밀 신체검사 : X-레이, 혈액 및 소변검사외 기타 항목
- 인성검사
구분 | 직종 | 지원자격 |
---|---|---|
기술분야 (8) | 기계, 차량운전, 차량정비, 통신전자, 토목, 건축, 전기, 화학 |
- 직종관련 자격증 소지자 또는 전공자, 경력자 (관련직종 지원가능)
※ 차량운전 직종은 면허증 소지자에 한함 (오토면허 제외) |
일반분야(4) | 일 반 | - 자격증 및 전공자는 상관없이 누구나 지원 가능 |
전 산 | - 관련 자격증 소지자 또는 대학 전공자 | |
의 무 | - 관련 자격증 소지자 또는 대학 전공자 | |
군 악 | - 전공자 및 경력소지자 |
◇기 본 군 사 훈 련 ◇ |
기 간 :입영 후 12주 (신분전환기간 1주포함)
교육내용 : 행군, 사격, 구보, 유격, 총검술, 제식훈련, 화생방, 기타 정신교육 등 외박 : 입교 8주후 2박 3일 종교활동 : 매주 일요일 10:20~11:40(입대 2주차부터)/매주 수요일19:00~20:20(입대 4주차부터) 청원휴가 : 직계존비속 사망시 청원휴가 가능 ※자세한 내용은 공군 홈페이지의 '입영중생활안내' 참고 복무기간 : 임관 후 4년 ※ 복무시 연장/장기 복무 지원이 가능하나, 선발심사 절차를 통해 여부가 결정됩니다. ※ 임관 후 영내생활기관 6개월 |
공군 가치 분야 2문항 출제 | |
---|---|
도 전 | 용기, 열정, 인내 |
헌 신 | 충성, 희생, 봉사 |
전 문 성 | 창의, 역략, 지식 |
팀 워 크 | 신뢰, 책임, 존중 |
- 응시자구별 시험관리 부대
지구 | 시험관리부대 | 문의처 | 지구 | 시험관리부대 | 문의처 |
---|---|---|---|---|---|
서울 | 복지단/15비 | 02) 827-7114 | 군산 | 38전대 | 063) 470-2045 |
수원 | 10비 | 031) 730-4125 | 광주 | 1비 | 062) 940-1124 |
원주 | 8비 | 033) 730-4125 | 제주 | ||
강릉 | 18비 | 033) 649-2123 | 대구 | 11비 | 053) 989-3685 |
청주 | 17비 | 043) 210-2122 | 부산 | 5비 | 051) 979-3790 |
대전 | 진주 | 교육사 | 055) 750-5812 |
- 우대 선발 및 자격 기준
구 분 | 직 종 | 자 격 사 항 |
---|---|---|
가점
30점 |
모든 직종 | - 직종관련 기사 자격증 소비자 |
차량운전/시설 | - 중장비(굴삭기, 로우더 등) 관련 국가기술자격증 소지자
- 지자체장 발행 건설기계조종 면허증 소지자 |
|
시설/기계 | - 건설 및 설비운영 2년 이상 실무경력자 | |
기 계 | - 항공정비사 면장 소지자 | |
전 산 | - CISA, CCDP, OCP, SCNA/OCNA, CCIE 자격증 소지자 | |
가산
20점 |
모든 직종 |
- 직종 관련 산업기사 자격증 소지자
-국가보훈처 발급 취업보호증명원 10%가산점 부여 대상자 |
차량운전/시설 | - 1종 대형 또는 특수면혀(렉카/트레일러) 소지자 | |
전 산 | - MCSE, CCDA, CCNP, CSA, MCDBA, MCSD 자격증 소지자 | |
의 무 | - 의사, 한의사, 약사, 수의사, 간호사, 임상병리사, 방사선사, 물리치료사, 의무기록사, 치과위생사, 응급구조사 1급, 산업위생사 | |
통신전자/기계/전기 | - TOEIC 860점 이상 | |
가점
15점 |
통신전자/기계/전기 | - TOEIC 730~ 860점 미만 |
가점
10점 |
모든 직종 |
- 직종 관련 기능사 자격증 소지자
- 직종 관련 공군 전문화관리병 - 국가보훈처 발급 취업보호 증명원 5% 가산점 부여대상자 - 태권도 3단 이상 또는 최근 2년 이내 태권도 전국대회 3위 입상 경력자 |
전 산 |
- MCP, CNE, CLP, SCJP, ACE, ACS, MFD 자격증 소지자
-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전문가, 인터넷 보안전문가(1급) |
|
일 반 | - MOS/ITQ Master 자격증 소지자 | |
기계/시설/전산 | - AUTOCAD 1~2급 자격증 소지자 | |
의 무 | - 안경사, 위생사, 치과기공사, 응급구조사 2급, 작업치료사, 산업위생관리사, 조산사 | |
통신전자/기계/전기 | - TOEIC 600점 ~ 730점 미만 | |
가점
6점 |
모든 직종 | - 다자녀가정(4자녀 이상) 자녀 |
가점
5점 |
통신전자/기계/전기 | - TOEIC 520점~600점 미만 |
*우대선발 사항은 공군 사정에 따라 매기수별로 달리 적용할 수 있으니, 지우너시에 해당기수 모집안내 내용을 반드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* 자격증/면허증 등은 해당 직종에 응시할 경우에만 가점이 부여되며, 2개이상 중복시는 가장 유리한 것 한가지만 적용함.
별도 선발 분야 | |
---|---|
군악 |
지원자격 : 금관, 목관, 타악, 싱어 전공 및 경력자
* 기수마다 모집파트가 다를 수 있습니다. 기수별 모집파트를 확인하신 후 지원하셔야 합니다. - 목관악기 : 플룻, 크라리넷 - 금관악기 : 트럼펫, 호른, 튜바 - 타 악 기 : 퍼크션 연주 (팀파니, 실로폰, 스테어 드럼)*세트드럼 제외 모집시기 : 일반직종 모집일정과 동일 선발방법 : 서류 및 실기( 필기시험 제외 ) * 자유 및 초견곡 연주 (각 1곡 씩 ) 문의처 : 02)506-6936, 042)552-6936 |
항공관제사 |
지원자격 : 영어능력 우수자
- TOEIC 500점, TOEFL 480점, TEPS 410점이상자 - TOEIC 750점, TOEFL 557점, TEPS 656점이상자 독해/작문 면제 - 항공종사자 항공영어구술능력 자격증명 4등급 이상 취득자 독해/작문면제 모집 시기 : 공군 일반직종 모집일정과 동일 모집인원 : 배정인원 내 - 선발방법 : 독해/ 작문 및 인터뷰 특 전 : 항공교통관제사 국가자격증 취득기회 부여, 전역후 민간 항공교통 관제사취업 기회 제공 등 |
항공구조사 |
- 수영 가능자 및 운동특기자 우대
- 응급처치 및 응급구조사 자격 소지자 우대 - 어학능력 우수자 (TOEIC 500점, TOEFL 480점, TEPS 410점 이상자) 우대 - 신체기준 * 신장 : 170cm 이상, 시력 : 0.7 이상(나안) * 몸무게 : 공군 비만도 측정 기준치 미만 * 공중근무자 신체검사 3급 모집시기 : 공군 일반직종 모집일정과 동일 모집인원 : 배정인원 내 선발방법 : 신검/실기/체력검정 |
신체 각 과별 요소평가 기준표의 선발등급 3급이상
- 신체 각 과별 요소평가 기준표
신 장 | - 남 : 159cm 이상, 204cm 미만,- 여 : 155cm이상, 185cm 미만 |
체 중 | - 남/여 : BMI (17이상 ~33 미만) |
시 력 |
우세안 교정시력 0.7이상이고 비우세안 교정시력 0.5이상, 시력교정 수술후
3개월 이후 입대가능 , 우세안이라함은 오른손잡이일 경우 우안, 왼손잡이일 경우 좌안이 됨 (근시 : 0~ -8.75D, 원시 : 0 ~ +3.75D, 난시 : 수직/수평 굴절률 차이 4.0D 이내) |
색 각 |
- 14개 검사지 중 10개 이상 식별 가능한 자
- VTS-CV, Pseudo Isochromatic 15 plates, NSN 6515-00-299-8186 사용 |
기 타 |
B형 간염 보균자는 건강 보균자에 한하여 합격
※ 건강 보균자라 함은 HBs항원은 있으나 HBe 항원 유무에 고나계없이 간기능이 정상이거나 조직검사상 간염활성 지수가 최소이하인 자를 말함 기타 질병 및 신심장애에 대한 기준 ※ 일반 의무ㅇ관리 "신체 각 과별 요소평가 기준표"의 질병 및 심신 장애등급을 적용하되 각 항의 1~3급을 합격으로 함 ※ 정신과 합격기준 2급 적용 및 급수가 재검인 경우에도 불합격 처리 함 ※ 여자는 산부인과 검사추가 |
신체 각 과별 요소평가 기준표
체 중 (kg) | ||||
---|---|---|---|---|
등급 신장(cm) | 1급 | 2급 | 3급 | 4급 |
159미만 | 체중 | 체중과 관계없이 4급 | ||
159이상 161미만 | 50이상~61미만 | 46이상~50미만 61이상~79미만 | 38이상~46미만 79이상~97미만 | 38미만,97이상 |
161이상 164미만 | 51이상~63미만 | 46이상~51미만 63이상~81미만 | 38이상~46미만 81이상~102미만 | 38미만, 102이상 |
164이상 167미만 | 53이상~66미만 | 46이상~53미만 66이상~83미만 | 38이상~48미만 88이상~110미만 | 38미만,106이상 |
167이상 170미만 | 55이상~69미만 | 46이상~55미만
69이상~85미만 |
38이상~46미만
85이상~108미만 |
38미만,108이상 |
170이상
173미만 |
58이상~72미만 | 48이상~58미만
72이상~88미만 |
39이상~48미만
88이상~110미만 |
39미만,110이상 |
173이상
176미만 |
60이상~75미만 | 49이상~60미만
75이상~90미만 |
39이상~49미만
90이상~113미만 |
39미만,113이상 |
176이상
179미만 |
62이상~78미만 | 51이상~62미만
78이상~92미만 |
40이상~51미만
92이상~113미만 |
40미만,113이상 |
179이상
182미만 |
64이상~81미만 | 53이상~64미만
81이상~94미만 |
43이상~53미만
94이상~113미만 |
43미만,113이상 |
182이상
185미만 |
68이상~84미만 | 54이상~68미만
84이상~96미만 |
44이상~54미만
96이상~113미만 |
44미만,113이상 |
185이상
188미만 |
70이상~87미만 | 56이상~70미만
87이상~113미만 |
45이상~56미만
113이상~118미만 |
45미만,118이상 |
188이상
191미만 |
72이상~90미만 | 56이상~70미만
87이상~113미만 |
46이상~58미만
120이상~130미만 |
46미만,130이상 |
191이상
196미만 |
75이상~93미만 | 58이상~75미만
93이상~120미만 |
48이상~58미만
120이상~135미만 |
48미만,135이상 |
19이상 | 체중과 관계없이 4급 |
조종 | 공중전투 및 항공작전분야의 운용계획 수립, 정책계획 수립, 검열, 훈련, 지휘 및 이행에 고나한 각종 직능을 수행하며 항공기(전투기, 수송기, 헬기, 전술통제기) 를 조종하여 공중우세, 전술정찰, 근접지원, 공중수송, 특수작전, 탐색구조 등의 전술임무를 수행하며 전술전력 및 지원계획의 수립, 전술문제의 계획 및 집행, 장기전쟁계획의 작성 등의 임무 수행 |
항공통제 | 영공방위의 핵심주체로서 비행활동 감시, 항공기와 방공포병 전력통제 및 요격기 관제임무와 항공교통관제기구(관제탑, 접근관제소 등) 에서 항공기 이·착륙 허가를 발부하고 비행장관제권 및 접근관제구역내의 항공기에 대한 항공교통관제 임무수행항공통제 |
방공포병 | 중·장거리 대공방어 임무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주체로서 지대공 무기로 적항공기나 유도탄 등 이륙한 비행물체를 파괴, 무력화하거나 공격효과를 감소시킴으로써 지속적인 방공작전을 수행하고, 전방지역 지상군의 방공기능을 지원하며 지대지 무기로 전략 및 전술임무를 수행하는 한편 대공감시 및 전군 방공경보 전파임무수행 |
기상 | 군작전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 및 환경지원 업무와 관련된 기상분석, 기상예보발표, 환경제원 관측과 탐지, 관련부서에 대한 기상 및 환경 정보지원, 기상학적 연구 및 기술개발, 환경영향 평가 및 개선과 아울러 항공기상 시설 및 장비의 설치, 환경영향 평가 기술의 개발 및 대책 수립등의 임무수행 |
정보통신 | 실시간 항공작전임무 수행을 위한 지휘통제통신체계와 장거리 방공관제 레이더, 비행 및 항법 지원시설, 각종 유무선 통신망을 설치/운영하며, 정보화 공군 건설을 위한 정보체계 구축 및 장병 정보화 교육임무를 수행 |
항공무기정비 |
현대전의 핵심인 첨단 항공기/무기체계의 운영주체로서 공군 항공 무기체계로서 공군 항공 무기체계 정비업무 수행
- 항공기 기체, 엔진 및 세부계통(전기, 계기, 유압 등)과 항공장비에 대한 정비업무 - 공대공, 공대지, 방공유도무기 등 항공탄약에 대한 정비업무와 폭발물 처리업무 - 항공기 탑재 통신, 항법, 레이더, 전자전장비 등 항공전자계통 및 운용 S/W에 대한 정비업무 |
보급수송 | 군수품과 병력의 효율적인 지원에 관한 정책입안, 계획수립, 지시, 집행 및 운영에 관한 직느으로서 제한된 자원을 최대 지원하여 전력화하고 경제적인 군운영에 기여하며 공군 수송업무를 계획, 개발, 조정감독하며 차량운영 방침과 차량정비 방침을 수립 및 집행하는 등 공군의 모든 수송지원 업무 수행 |
시설 | 비행장 피해복구, 항공기 사고구조(소방), 화생방 방호 작전 등의 전투 공병 임무와 기지 건설 및 시설물 확보를 위한 소요판단, 설계, 시공감독, 준공 등의 공사업무와, 건축/토목시설물, 냉난방, 급수위생, 전기/발 변전, 화생방 방호, 유류저장, 소방 설비 등의 운영 및 유지보수 임무 수행 |
관리 | 예산계획 수립과 예산편성 및 예산집행, 운영, 통제와 이에 수반되느 국고금의 지출/출납, 공사 및 구매계?, 결산 등을 포함한 재정회계의 전반적인 임무수행 |
인사행정 | 공군 인련운영의 기본정책 수립과 인적자원을 배속·활용·유출을 조정 통제하는 인사관리 업무, 장병들의 사기·복지·우너호·제급여 등에 관한 인사근무 업무 그리고 병력동원 계획수립, 예비역 자원 및 병적관리 등의 인사업무와 각종기록물 및 문서 관리, 행사계획 수립등의 행정업무 |
정훈 | 공군장병들이 군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가치관과 신념을 정립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훈 교육 프로그램 시행, 공군의 공식 대변인으로서 언론에 대한 공군의 공식창구 역할담담, 장병사기진작을 위한 부대내 문화활동 주관과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문화행사, 홍보프로그램 제작 지원 그리고 사이버 공간을 통해 공군의 활약상을 국민에게 올바로 알리는 일을 담당 |
교육 | 공군이 필요로 하는 군사전문가 및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기위하여 사관생도 교육, 군사전문 교육, 기본군사훈련은 특기기술교육, 인성교육, 국내·외 위탁교육(박사,석사, 지휘참고대학, 병과교육등 ), 국가기술자격검정시험 운영 등 다양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시행 및 평가 |
정보 | 미래 항공 우주군 시대에 부응하고 공군항공작전 수행에 요구되는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지원하며 군전투력 보호를 위한 인원, 시설, 문서보안 등의 군사보안 임무 수행 |
헌병 | 군관련 형사사건의 수사·기소, 군행형업무 감독등 군검찰업무 수행, 군사재판을 담당하는 군사법원 운영, 현역 장병 및 군무원의 비위행위에 대한 징계위원회 운영, 국방관계법령 해석 및 합의서 검토 등 각종 법제업무 수행, 국가배상 및 군과 관련된 각종 소송수행, 기타 장병들에 대한 군법교육 및 법률상담 |
법무 | 군관련 형사사건의 수사·기소, 군행형업무 감독등 군검찰업무 수행, 군사재판을 담당하는 군사법원 운영, 현역 장병 및 군무원의 비위행위에 대한 징계위원회 운영, 국방관계법령 해석 및 합의서 검토 등 각종 법제업무 수행, 국가배상 및 군과 관련된 각종 소송수행, 기타 장병들에 대한 군법교육 및 법률상담 |
군종 | 공군 구성원의 신앙활동, 인격지도, 선도활동, 기타 종교활도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며, 고도사회의 형성과 급격한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라 군의 무형전력 극대화가 요청되므로 신앙을 통하여 장병들의 사상관 및 국가관을 확립하고 사기를 진작시켜 정신전력 증강에 기여하는 임무수행 |
의무 | 장병의 건강한 신체 유지와 증진을 위한 제반 의학적 전문 임무 수행을 위해 공군 장병에 대한 진료, 신체검사 및 예방의학업무, 공군의 주임무인 항공작전 지원을 위한 항공우주의학업무, 항공기 승무원에 대한 항공생리교육훈련을 실시 및 군 특수의학 (항공의학, 군진의학)에 관한 연구 수행 |
❍ 대상: ’20년 후반기부터 모집하는 全 선발전형
* 부사후는 특별전형(공정통제사, 항공구조사) 특별전형 및 입영전형 체력검정 시 적용
❍ 적용방법: 시범적용 (제출된 인증서를 참고자료로 활용)
* 시범적용 후 적용방법 변경 검토 예정
❍ 유효기간: 제출일자 (입영일 또는 특별전형일) 로부터 6개월
❍ 인증방법: 예약 (전화, 인터넷) → 인증센터 방문 → 측정 → 인증서 발급
* 인터넷에 '국민체력10' 검색 (htp:/nfa.kspo.or.kr)
* 측정장소: 전국 75개소 / 측정종목: 총 6개 종목
❍ 전형 유형별 제출방법
* (공정통제사/항공구조사) 제출기간 사전 제출 또는 전형일 현장 제출
* (기타) 최종 합격자 전원 교육사령부 입영 (’21. 6. 7.) 시 제출
※ 코로나19 관련 휴장되는 센터가 다수 있어 조기 체력인증 권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