신뢰의4관왕기업

슬럼프 극복법

지금나의 상태 및 원인 분석

01

슬럼프이겨내기

  • 수험생들이 계획대로 학습진도가 나가지 못하거나 건강상 등의 이유로 학습의욕을 상실하고 무력감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호소하는 수험생이 많다.
  • 수험생들을 가장 괴롭히는 것은 시험이 다가오고 있는데도 기대만큼의 변화가 생기지 않는 데서 오는 자신감 상실과 좌절감에 힘들어하고 하는 경우가 많다.
  • 심리적 안정과 자신감을 잃은 상태로는 하루 종일 책상 앞에 앉아 있어도 효율성은 그리 높지 않다.
  • 이럴 때 주변의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. 수험생 자신도 혼자 끙끙 앓기만 할 게 아니라 주위에서 조언과 충고를 구하며 적극적으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.
  • 슬럼프에서 벗어나 안정과 자신감을 되찾을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본다.

02

슬럼프 상태 파악하기

  • 수험생 자신의 정신 및 육체 건강 상태가 어떠한지 확인을 하고 내부적인 요인인지 외부적인 요인때문인지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.
  • 해마다 시험이 다가오면 수험생의 절반 가까이가 수험 레이스에서 사실상 탈락한다. 모의고사 성적이 어느 정도 나오는 수험생은 그럭저럭 참고 견디지만그렇지 못한 수험생들은 하루하루를 힘들어한다. 책상에 앉아있는 수험생들이라고 피로를 느끼지 않는 게 아니다.
  • 수험생들이야말로 정신, 의욕결핍 등 내부적인 요인과 친구 관계, 공부 실력 등 외부 적인 스트레스 때문에 더욱 피로 회복에 신경을 써야 한다.
  • 슬럼프에 있을때는 내가 선택 할수 있는 것을 3가지 정도 정해서 하나만 실행하는 등 피로를 회복할수 있는 방법을 찾자.

03

자신만의 스트레스 해소법

  • 수험생은 오로지 공부만 해야 하는 것일까. 아직도 수험생들은 공부만을 해야 한다는 강박개념에 사로잡힌 수험생들이 적잖다.
  • 그런 사람들은 휴식과 놀이의 생산성을 체험해보지 못한 이들이다. 성적이 좋은 학생일수록 잘 논다는 사실도 믿으려 들지 않는다. 그러나 오래 앉아 있는 학생보다 집중력이 뛰어난 학생들의 성적이 대체로 낫다.
  • 지적인 유연성과 탄력성이 중시되는 시험은 더욱 그렇다. 주기적으로 공부 외적인 취미나 건전한 오락에 몰두하는 것이 정신 건강에도 좋고 어떤 일에 더욱 몰두할 수가 있다.
  • 주말 한나절 정도는 음악을 듣거나 영화나 비디오를 보거나 책을 읽거나 컴퓨터 오락 등을 즐기는 여유를 가지는 것이 좋다.

04

주말에 운동이나 짧은 여행을

  • 수험생활에 너무 지쳐 아무런 의욕도 없는 무기력 상태에 빠져 있다면 주말에 산이나 바다로 짧은 여행을 하게 하면 좋을 것이다.
  • 가족이 함께 가도 좋고 혼자 보내도 무방하다. 자신을 정리하면서 기분을 전환하고 새로운 활력을 얻는 데 여행만큼 좋은 것도 드물다.
  • 지금 우리는 엄청나게 많은 시간과 돈을 공부에 바치고 있지만 투자에 비해 생산성은 형편없이 떨어진다. 어느 한쪽으로만 일방적으로 몰아붙이기 때문에 사고도 편협하고 융통성도 없고 결정적인 순간에 위기관리 능력도 없다.
  • 또한 적절한 육체적 활동을 할 때 정신적인 스트레스는 가장 잘 해소된다. 특히 젊을수록 그에 맞는 운동을 해야 몸과 마음이 개운해진다.
  • 모의고사와 같은 시험을 치를 때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조여드는 증세를 심하게 느끼는 학생은 그 원인이 운동부족인 경우가 많다.
  • 시험의 최종 승부는 마지막 한두 달에 결정된다. 이때 체력은 승패의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.
뿌리 깊은 나무
흔들리지 않습니다.
간호교육연수원은 1998년부터 간호·보건만을 연구해온
전문교육원이자, 자부심입니다.
위로가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