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보직 준비생에게
힘이 되어주고 싶어요!강좌 | |||
---|---|---|---|
제 1단원 | 국가정보학 강좌 소개 | 제 15단원 | 북한의 정보기구 |
제 2단원 | 국가정보학의 이해 | 제 16단원 | 미국의 정보기구 |
제 3단원 | 정보의 기능과 이해 | 제 17단원 | 러시아의 정보기구 |
제 4단원 | 정보생산과 정보소비자 | 제 18단원 | 중국의 정보기구 |
제 5단원 | 첩보수집 | 제 19단원 | 일본의 정보기구 |
제 6단원 | 정보분석 | 제 20단원 | 영국의 정보기구 |
제 7단원 | 정보보고서 생산과 배포 | 제 21단원 | 프랑스의 정보기구 |
제 8단원 | 비밀공작활동 | 제 22단원 | 독일의 정보기구 |
제 9단원 | 방첩 | 제 23단원 | 이스라엘의 정보기구 |
제 10단원 | 산업정보활동 | 제 24단원 | 정보기구 총론 |
제 11단원 | 테러와 범죄 | 제 25단원 | 정보활동의 변화와 국가 간 정보협력 |
제 12단원 | 사이버정보전쟁 | 제 26단원 | 정보기관의 민주적 통제와 균형 |
제 13단원 | 국가위기관리 | 제 27단원 | 정보기관의 혁신과제 |
제 14단원 | 한국의 정보기구 |
강좌 | |||
---|---|---|---|
1. 정보와 정보사회 | I. 정보 | 4. 정보화 | I. 정보화 |
II. 정보사회 | II. 정치권력분야 | ||
III. 사회변동 패러다임 | III. 사회문화 분야 | ||
2. 정보사회의 이론 | I. 정보사회 담론 | IV. 산업경제분야 | |
II. 탈산업사회론 | 5. 정보사회의 쟁점 | I. 정보사회의 쟁점 | |
III. 정보자본론 | II. 정보화 역기능 | ||
IV. 조절학파론 | III. 정보사회의 두 얼굴 | ||
V. 공공영역론 | IV. 정보윤리 | ||
VI. 통신망 사회론 | 6. 정보사회의 법률문제 |
I. 전자상거래 | |
VII.탈근대론 | II. 개인정보보호 | ||
3. 뉴스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|
I.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| III. 저작권 | |
II. 뉴미디어와 소셜미디어 | |||
III. 인터넷과 네트워크 기술 | |||
IV. 매개 Communication과 집단지성 |